반응형
새해 목표로 손꼽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언어공부가 아닐까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2025년도 계획중에 언어공부가 포함되어 있을까요? 저도 올해의 목표중에 하나가 영어로 기본적인 대화를 자연스럽게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어 외 다른언어도 욕심을 내서 배워볼까 해요. 아직은 욕심만 많고 그 욕심에 비해 행동은 많이 없네요 🥲
그래도 평소에 어떻게 공부를 해둘지 생각해두면 좀 더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글을 적어봅니다.
언어공부! 한번에 하는게 좋을까 따로따로 하는게 좋을까? 같이 생각해 보자고요!
1. 한 번에 한 언어를 중급 이상으로 올리는 경우
장점:
- 집중도가 높아짐
- 한 언어에 온전히 시간을 투자하기 때문에 학습 속도가 빠릅니다.
- 초급 단계를 빨리 지나 중급 수준으로 도달할 가능성이 큽니다.
- 혼동 방지
- 유사한 언어(예: 일본어와 중국어)를 동시에 배우면 문법이나 단어를 혼동할 수 있습니다.
- 하나의 언어를 확실히 익힌 후 다음 언어로 넘어가면 체계적으로 학습 가능합니다.
- 효율적인 자원 활용
- 학습 시간, 도구, 에너지를 하나의 언어에 집중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권장:
- 외국어를 처음 배우거나 기본기가 없는 경우, 하나의 언어를 중급 이상으로 올린 후 다른 언어를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여러 언어를 동시에 공부하는 경우
장점:
- 동시에 여러 목표를 달성
- 시간 관리가 잘 된다면 다양한 언어를 동시에 배워 다중 언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 학습 간 시너지 효과
- 유사한 언어(예: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일본어와 중국어)를 배우면 단어와 문법에서 상호 유사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자극으로 흥미 유지
- 한 언어에만 집중하다 보면 지칠 수 있는데, 다른 언어를 함께 배우면 흥미를 유지하기 쉽습니다.
주의점:
- 시간과 에너지가 분산되어 언어별 실력이 더디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초급 단계에서 너무 많은 언어를 배우면 혼란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천 전략
1. 초급 단계에서는 한 언어에 집중!
- 초급자는 새로운 문법, 단어, 발음 등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하나의 언어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중급 이상 수준(예: 일상 대화 가능, 기초 문법과 단어 숙지)이 되면 다른 언어를 추가하세요.
2. 중급 이상부터 다중 언어 학습 시도!
- 한 언어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유지 학습을 하면서 다른 언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 영어는 중급 이상이 되었을 때 유지하며 일본어나 중국어 학습 시작.
3. 시간과 목적에 따라 조정
- 시간이 많고 특정 언어에 대한 긴급한 필요가 없다면 여러 언어를 동시에 학습 가능.
- 하지만 취업, 여행, 시험 등 특정 목적이 있다면 그 언어에 집중하세요.
결론
- 외국어를 처음 배우는 단계라면 하나의 언어를 중급 이상으로 올린 후 다른 언어를 시작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 만약 다중 언어를 배우고 싶다면, 우선 강점 언어(예: 영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새로운 언어를 추가하세요.
- 자신의 학습 스타일, 시간, 목표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욕심같아서는 한번에 여러언어를 같이 공부하고 싶지만, 일단 영어를 우선순위로 두고 다음에 배울 언어를 공부해야겠네요
영어공부방법에 대해서는 아주 많이 보고 있답니다. 나중에 추가적으로 글을 적어볼까 하지만, 10분이라도 기본적인 영어공부를 꾸준히 하는게 중요하다고 하네요.(다개국어자의 말)
같이 힘내보자구요! 2024년도 잘 마무리 하시고, 2025년도 화이팅 입니다.
반응형
'공부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개국어 구사자가 알려주는 외국어 잘하는 꿀팁 (4) | 2025.02.07 |
---|---|
다개국어 구사자가 알려주는 영어 공부 비법 영어 공부 핵심 노하우 4개국어 구사자의 전략 효율적인 영어 학습 전략 다개국어 구사자의 팁 영어 초보 탈출! 다개국어 구사자의 공부법 영어 마스터 비법 4개국어 구사자의 노하우 (1) | 2025.02.06 |
영어공부, 책으로 영어읽고 듣기연습하기 ! (3) | 2024.12.02 |
영어 공부 방법 정리 및 실행 계획 (2) | 2024.11.17 |
초심자에 입장에서 글을 재미있게 쓰고자 한다면 (0)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