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학

What are you even saying? This was a big mistake.

by 그로스패커 2024. 11. 22.

 


오늘은 에밀리 파리에가다를 보면서 영어공부를 했습니다. 

Your language is seriously effed up. 라는 표현이 나왔고 

effed up은 일상 대화나 캐주얼한 상황(미드, 영화, 유튜브영상 등에 많이 나옴)에서 자주 쓰이는 슬랭표현이라고 나왔다. 
"Your language is seriously effed up."**처럼 상대를 비판하는 형태로는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고 하네요
관련되어 유사한 표현들을 가지고 왔습니다. 

 

 

 

  1. "Your English doesn’t make sense."
    • (네 영어가 말이 안 돼.)
    • 더 정중하고 덜 공격적인 표현입니다.
  2. "That’s confusing."
    • (그건 혼란스러워.)
    • 상대방이 한 말을 부드럽게 지적할 때 사용.
  3. "What are you even saying?"
    • (대체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거야?)
    • 좀 더 강한 뉘앙스로, 상대방 말을 이해할 수 없을 때.

외워야 할 관련 구동사

  1. Mess up – 망치다, 실수하다
    • 예문: "I messed up my presentation."
      (내 발표를 망쳤어.)
  2. Screw up – 실수하다, 엉망으로 만들다
    • 예문: "He screwed up the project."
      (그가 프로젝트를 엉망으로 만들었어.)
  3. Mix up – 혼동하다, 헷갈리다
    • 예문: "I mixed up the schedules."
      (일정을 헷갈렸어.)
  4. Clean up – 정리하다, 치우다
    • 예문: "We need to clean up this mess."
      (이 엉망인 상황을 정리해야 해.)

외워두면 좋은 예문

  1. "This situation is totally effed up."
    • (이 상황은 완전히 엉망이야.)
  2. "My schedule got messed up because of the delay."
    • (지연 때문에 내 일정이 엉망이 됐어.)
  3. "I think I screwed up my exam."
    • (시험을 망친 것 같아.)

This was a big mistake.
실수였어요.

공식적인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과잘못을 인정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비슷한 표현

  1. "I made a huge mistake."
    • (나는 큰 실수를 했다.)
    • **"This was a big mistake."**보다 더 강하게 자신의 잘못을 강조합니다.
  2. "That was my fault."
    • (그건 내 잘못이었다.)
    • 잘못에 대해 책임을 인정하며 사과하는 표현.
  3. "I shouldn’t have done that."
    • (그걸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 후회나 잘못을 표현할 때 사용.
  4. "I messed up."
    • (내가 망쳤어.)
    • 더 캐주얼하고 간단하게 실수를 인정하는 표현입니다.

관련 구동사

  1. Mess up – 망치다, 실수하다
    • 예문: "I messed up the presentation."
      (내가 발표를 망쳤어.)
    • 캐주얼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
  2. Screw up – 엉망으로 만들다, 실수하다
    • 예문: "I really screwed up this time."
      (이번에 정말 엉망으로 만들었어.)
    • 강한 뉘앙스로, 책임을 강조할 때 사용.
  3. Make up for – 실수를 만회하다, 보상하다
    • 예문: "I’ll make up for the mistake."
      (그 실수를 만회할게.)
  4. Own up to – ~을 인정하다, 고백하다
    • 예문: "You need to own up to your mistakes."
      (너는 네 실수를 인정해야 해.)

"I should never have come here." 

  • 직역: "여기에 오지 말았어야 했는데."
  • 뉘앙스: 자신이 한 행동이나 결정을 후회하거나, 잘못된 선택이라고 느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 **"I should never have..."**는 강한 후회를 표현하는 데 쓰입니다.

"No! It's good you came." 

  • 직역: "아니야! 네가 와서 잘됐어."
  • 뉘앙스: 상대방의 후회를 부정하며, 그 결정이 옳았거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고 위로하거나 안심시키는 표현입니다.

유사 표현

1. 후회를 표현할 때

  • "I shouldn’t have come here."
    (여기에 오지 말았어야 했어.)
    • 좀 더 일반적인 후회 표현.
  • "This was a bad idea."
    (이건 나쁜 생각이었어.)
    • 행동에 대한 후회나 판단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때.
  • "I wish I hadn’t come."
    (안 왔으면 좋았을 텐데.)
    • 후회를 더 감정적으로 표현.

2. 위로하거나 긍정적으로 답할 때

  • "No, you did the right thing."
    (아니야, 너는 잘했어.)
    • 상대방의 결정을 지지하는 표현.
  • "I’m glad you came."
    (네가 와서 기뻐.)
    • 상대방이 온 것에 대한 고마움이나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
  • "Don’t worry, it all worked out."
    (걱정하지 마, 다 잘 해결됐어.)
    • 결과가 긍정적임을 강조.

연관된 구동사와 표현

  1. Come up with – 떠올리다, 생각해내다
    • 예문: "I came up with a new idea during the meeting."
      (회의 중에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랐어.)
  2. Show up – 나타나다, 오다
    • 예문: "It’s good you showed up. We needed your help."
      (네가 와서 다행이야. 우리가 네 도움이 필요했어.)
  3. Turn out – ~로 밝혀지다, 결과가 ~가 되다
    • 예문: "It turned out to be a good decision."
      (결국 그게 좋은 결정이었어.)
  4. Make up for – ~을 만회하다
    • 예문: "Don’t worry, we can make up for the mistake."
      (걱정 마, 우리가 그 실수를 만회할 수 있어.)

문장 연결 연습

  1. "I should never have come here."
    • "No, it’s good you came. We really needed you."
      (아니야, 네가 와서 다행이야. 우리가 정말 네가 필요했어.)
  2. "I shouldn’t have made that choice."
    • "Don’t worry, everything turned out fine."
      (걱정 마, 결국엔 다 잘 됐어.)